상담심리학 상세(10)
- 상담의 요소 : 지식/기술/태도 - 외로움(수동) / 고독(능동) : 상담에서 외로움과 고독은 다르다. 내담자가 홀로 성찰하는 연습을 시키는 것도 상담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 전문적 상담 vs 비전문적 상담 윤리 강령, 자격증, 지식 및 전문용어, 교육훈련, 체계적 목표와 구조적 단계, 정해진 장소 및 시간(out reach도 가능), 안정감, 내부적 검열기준, 과학적 검증 노력 등의 요건이 갖추어져야 비로소 전문적 상담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전문적 상담이란, 소정의 상담 관련 교육 및 훈련을 받은 전문가가 다양한 삶의 맥락에서 발달 및 적응상의 심리정서행동적인 문제를 경험하는 개인, 커플,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조력 활동이며, 실습/이론/연구 간 유기적 관계가 있는 활동이다. - 상담..
2023. 10. 25.
상담심리학 상세(8)
5. 내담자 문제 평가하기 - 평가 : 적절한 상담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내담자로부터 정보를 수집, 분석, 개념화하고 내담자 자원을 고려하는 것, 내담자가 상담의 문을 두드리면서부터 시작, 하나의 활동으로 여러 절차가 복합된 사례개념화와는 다르다. 평가는 사례개념화 과정에 포함되는 것이다. - 평가의 목적 : 효과적인 목표 설정과 개입전략 수립(심리진단적 접근) - 사례개념화 : 내담자의 문제를 이해하는 것(개념화), 복잡하고 추상적인 문제를 명료화/정의 by 이론, 임상 경험, 관찰, 심리검사, 면접 등 정보 - 사례개념화 구성요소 : 진단적 공식화, 임상적 공식화, 문화적 공식화, 상담 개입 공식화 - 평가에서의 두 가지 흔한 오류 (1) 개념적 유실(conceptual foreclosure) : 미..
2023. 10. 25.